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사

대학병원 수준의 통합적이고 과학적인 진단, 치료 시스템

검사

스트레스 검사(심박변이도 스트레스검사)

현대인들은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살아갑니다.
그러다 보면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 저항 역량이 떨어져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개발된 검사방법이 바로 심박변이도(HRV)를 이용하여 자율신경계의 활동 및 균형을 평가하고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내적, 외적인 환경요인에 대해 항상성을 잘 조절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측정 방법

  • 양측 손목과 발목에 전극을 대고 약 3분간 심박을 측정합니다.

검사 분야

  • 자율신경계 : 자율신경 활성도, 자율신경 균형도, 자율신경 안정도
  • 스트레스 : 스트레스 저항도, 스트레스 지수, 피로도
  • 심장 : 심장 안정도, 이상 심박동수

심리뇌파검사(정량뇌파검사 qEEG Test)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뇌의 상태를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두피에 전극을 붙여서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합니다. 뇌파의 종류는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입니다.
이러한 뇌파의 변이 상태를 살피면 ADHD, 만성피로, 우울, 불안, 불면 등 심리 상태와 연관된 특정 뇌파의 모습을 확인하여
진단하고 치료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뇌파 검사 혹은 뇌 매핑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QEEG 검사의 목적

  • 뇌의 전기적 활동을 파악하여 뇌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 뇌의 활동이 너무 높거나 낮은 부위를 찾습니다.

검사 분야

  • ADHD 환자의 진단과 치료 반응을 추적하는 데 사용합니다.
  • 우울증, 불안증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 효과를 파악하는 데 사용합니다.

종합심리검사

•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전문 자격이 있는 훈련된 임상 심리전문가가 시행하는 객관적인 검사입니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심리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내담자의 인지 및 사고, 정서 상태, 성격특성,
핵심 갈등 영역, 대인관계, 심리 자원 등 심리적 기능 전반을 탐색하는 검사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활용되기도 하고 숨겨져 있는 심리적 문제를 찾아내기 위해, 혹은 심리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해 실시합니다.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진단서, 병사용 진단서, 산업재해 평가를 통한 산재 등록, 법원 제출을 위한 진단서 혹은
정신감정, 장애진단을 위해 실시합니다.
일부 항목만 검사하여 정신지체진단, 치매진단을 하기도 합니다.

대상자

  • 소아 청소년, 성인(근로자, 회사원, 각종 사고 피해자)

검사 시간

  • 종합적으로 여러 검사가 시행되기 때문에 3-4시간이 필요합니다.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전예약과 선불금 지급이 꼭 필요합니다.)

검사 방법

  • 일정 자격을 갖춘 임상심리사와 일대일로 검사가 시행됩니다.

포함된 검사항목

  • 한국형지능검사 및 인지기능 검사
  • MMPI-2(다면적 인성검사) 혹은 MMPI-청소년용 : 임상적 측면을 객관적으로 평가
  • HTP : 집, 나무 사람, 가족화 그림을 통해 심리, 정서, 성격, 행동적 특성을 파악
  • 로샤검사 : 사고, 정서, 대인관계 방식 등 인격 특성을 평가하는 투사적 검사
  • * 추가로 필요에 따라 신경심리검사, 벤더게슈탈트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주의집중력검사(CAT검사)

상담과 기본 검사로 주의집중력 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CAT검사를 하게 됩니다.
CAT(Comprehensive Attention Test)검사는 컴퓨터를 이용한 주의력 평가로서 주의력을 구성하는 단순선택주의력,
억제지속주의력, 간섭선택주의력, 분할주의력, 작업기억력과 같은 여러 영역을 평가하게 됩니다.

모니터의 지시와 스피커 소리로 들리는 지시를 들으면서 검사를 받게 됩니다.
검사 시간은 30-40분 가량 소요되며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심리뇌파검사(QEEG)

  • 주의집중력장애(ADHD)에서 나타나는 뇌파와 다른 심리적 원인에 의한 뇌파를 구분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정확한 진단을 위해 CAT 검사와 동시에 실시할 수 있습니다.
전화문의 상단으로